교회

[스크랩] 감리교회의 초기 역사

참빛7 2013. 10. 3. 21:51

감리교회의 초기 역사

 

1.18세기 전반 영국의 상황
18세기초 1730년 영국은 산업혁명과 농업혁명에 이어서 공업혁명으로 발전되고 있었다. 특히 1740년에는 영국동북부의 당커스터(Doncaster)와 라더럽(Rotherham)사이에 운하가 개통됨으로 교통 혁명이 시작되었다. 이때 갑작스런 경제혁명으로 빈부 차이가 너무 심하여, 영국국민들은 교회, 특히 국교회를 멀리 하기 시작 하였다. 그리고 1688년에 있었던 명예혁명 이후 영국국민의 신앙적 상태는 전반적으로 침체 분위기였다. 이때 자연신교에 동정을 가지고 종교적 관용을 표방하는 광교주의(대표자는 켄터버리 대주교 John 틸러썬 (1630-94), 조셉 버틀러(1692-1752))가 세력을 가지게 되었으며, 이렇게 전통기독교 신앙이 그 영향력이 잃어 감에 따라 도덕적 수준과 공직사회 부패가 만연하였다. 이때 교회 출석률은 전 인구의 20%밖에 안되었다. 그러나 이때 영국에는 1678년 최초에 경건협회가 생겨 기성교회 예배 체제로 자리를 잡고 공동기도와 성경연구 및 가난한 자를 위로하고 격려하며 1700년에는 런던에만, 10개에 경건협회가 생기게 되었다.

 

2.웨슬리 형제와 신성구락부(神聖俱樂部)
존 웨슬러는 1703년 6월 17일 에프워드에서 아버지 사무엘 웨슬러((1662-1735)와 어머니 수잔나 웨슬러의 열아홉명의 자녀중 열다섯 번째 자녀로 태어났다. 그는 1714년 런던 소재 차티하우스 학교에 입학했고, 1724년 옥스포드대학 처치칼리지를 졸업하고, 1725년에 영국국교 성직자가 되었다. 동생 찰스 웨슬러는 1707년 12월 18일 열여덟 번째 자녀로 태어났다. 그 역시 웨스트민트학교와, 옥스포드대학 크라이스트를 수학 하였다. 웨슬러는 성직자로 있으면서 자기 교구인 링컨주 에프웨드에 경건협회를 세웠고, 1729년 친구 두 사람과 함께 공동기도 목적으로 신성구락부(Holy clup)를 조직 하였다. 그는 신성구락부의 지도자로 있으면서 매주 수요일과 금요일에 금식과 성찬식을 갖는 등 청교도적인 금욕생활과 규칙생활을 했기에 이때 규칙주의자들이라 불렀으며 감리교도라는 말도 여기서 나왔다. 그리고 이때 신성구락부 회원들이 영향을 많이 받은 사람은 월리엄 로오(1686-1761)였다. 그는 열렬한 비국교주의자였다. 주요 저서로는 "이성론"(1732)과 "기독교적 완전에 관한 실천론"(1726), "신실하고 성결한 생활을 위한 엄숙한 소명"(1728)등이 있다. 신성구락부회원들은 월리암 모어 제안으로 1730년부터 감옥 죄수들을 위하여, 죄수감옥 심방, 죄수 자녀를 위한 간이학교 운영을 하였다. 이때 회원들은 25명 정도였다.

 

3.웨슬러 형제의 미국에서의 사역
신성구락부회원들이  감옥 방문을 시작하기 한해 전인 1729년 영국하원의원 이었던 제임스 에그워드 오우걸 도어프(1696-1785)는 인도주의자로서 감옥 개량을 위해 노력 하던 중 죤 웨슬리가 이끄는 신성구락부가 감옥죄수들을 심방 한다는 말을 듣고 웨슬리 형제에게 식민지 목회를 맡아 줄것 을 부탁하자 웨슬리형제는 그의 제안을 받아 1735년 10월 런던을 떠나 미국으로 향하게 된다. 웨슬리 형제는 미국으로 가는 중 같은 배에 있던 모라비아파 감독 다비드 니취만(1696-1772)이 이끄는 26명의 모라비아 교인을 만나게 된다. 항해 도중 게센 폭풍 가운데서도 하나님을 의지하는 믿음을 보여 그들을 감동 시켰다. 웨슬러 형제는 미국에서 열심히 일했지만 크게 성공하지 못하고, 동생 찰스 웨슬리는 건강이 좋지 못해 1736년 영국으로 돌아갔고, 죤 웨슬리 역시 청교도적 내지 경건주의적 분위기가 지배했던 식민지에서 적응하지 못하고 미국 죠지아에서 2년간 머물다가 1738년에 영국으로 돌아갔다.

 

4.웨슬리 형제의 회심(回心)
영국으로 돌아간 죤 웨슬리는 런던에서 사역을 시작했다. 그때 페트루스 뷜러(Petrus Bohled*1702) 를 만나다. 이때 뷜러는 런던에서 헤른후트 공동체의 창설자 찐센도르프의 집에서 가정교사로 일하고 있으면서 모라비아 형제단 런던지부 창설을 시도하고 있었다. 그래서 뷜러는 이것을 계기로 런던에 "경건협회" 만들었다.
죤 웨슬리는 회심의 경험을 하였는데, 찰스 웨슬리는 1738년 5월 21일 런던시내 "리틀 브리튼(Little Britain)에 위치한 죤브레이 집에서, 죤 웨슬리는 올더 스게이트가에서 각각 회심을 경험했다. 이때 죤 웨슬리는 구원의 확신이 없었다.  죤 웨슬리가 감동받은 것은 루터의 로마서 강해 서문이었다.  그는 그때 감동을 이렇게 말하고있다.
때는 여덟시 사십 오분경 이었다. 그가(루터)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으로 말미암아 하나님께서(사람의) 마음속을 일으키시는 변화에 대해 어떻게 설명 했는지를 듣는 중에 나는 나의 마음이 이상하게 뜨거워 지는 것을 느꼈다. 나는 내가 그리스도를, 구원을 위해 오직 그리스도만을 신뢰하고 있음을 스스로 느낄수 있었다. 그리고 그가 나의 죄, 나의 죄까지도 제거 하셨으며 나를 죄와 사망의 법에서 구원해 주셨다는 확신을 가지게 되었다.   이변화로 통해 죤 웨슬리가 종교 개혁의 핵심적 진리를 깨닭게 되었다.  

 

5.죤 웨슬리의 헤른후트 방문 및 그 이후의 모라비아 교인들과의 관계
죤웨슬리는 회심을 경험 한 후  모라비아 형제단에 대해 좀더 알기위해 1738년에  찐센도르프의 헤른후트 공동체를 찾았다 그는 이 방문을 통해 모라비아 교인들의 구원의 확신과 교인 상호간의 형제애와 내면적 체험 강조등 을 배운다. 그후에 그는 이러한 제도를 감리교 발전에 많은 도움이 되기도 했다. 하지만 모라비아 교인들의 신비주위적 혹은 정숙주의적 경향에 대해서는 비판을 하였으며 그후 점차 모라비아 형제단에 대한 단절이 되었는데 결정적인 계기는 교회 조직에 관한 문제는 감독제도가 아니라 회중제도를 채택한 것과, 성화의 문제는 회심의 체험 이전에는 성직을 가져서는 안된 다는 것을 주장 하였으나 웨슬러는 회심 체험도 중요 하지만 회심 이후의 성화 혹은 크리스챤의 완전을 추구하여야 하는데 모라비아 형제단은 이런면 에 부족함을 지적했다. 이지적에 대해 웨슬리는 믿음의 성화에 있어서도 크리스찬의 완전이 인간의 영혼속에 내재할 정도에 까지 이르게 한다는 "내재설"을 주장하였다. 이토론에서 찐센도르프와의 합일점을 찾지 못한 웨슬리는 찐센도르프를 반 율법주의자라고 비난하고 모라비아 교회와 결별을 선언하였다.

 

6.죤 웨슬리의 부흥운동
죤 웨슬리 형제는 1738년부터 본격적인 전도활동을 위해 부흥강사로 나섰다 이때 영국교회는 초대교회 모습을 보이지 않은 설교를 한다고 비판하고 예배당 설교를 허용하지 않았지만 런던부근 경건협회를 중심으로 부흥집회를 가졌다.
이때 웨슬리는 죠지 휫필드(George Whitefield, 1714-70)를 만났다. 휫 필드는 영국 서남부글로스터에서 태어나, 1733년 옥스포드대학 펨브로크 칼리지에 입학하였으며, 1738년 봄에 웨슬리의 초청으로 죠지나아 사반나 교회에 부임하였으나, 영국교회의 신부 서품을 받기위해1738년 말에 영국으로 돌아가 영국에 머물면서 활동을 하였다
윗필드는 광산도시 브리스톨을 중심으로 옥외집회를 시작하여, (이때 옥외집회 약 2만명 청중이 운집함) 일생동안 18000번 설교를 했다 . 웨슬리는 영국전지역과 아일랜드, 스코틀랜드를 전도했으며, 일생동안 225000마일 전도여행을 하면서 4만번 설교를 했다고 알려지고 있다 웨슬리는 다음과 같은 유명한 말도 있다 "세계가 나의 교구다"(The world is my parish)


7.감리교 운동의 조직화
웨슬리는 탁월한 설교가 였으며, 동시에 조직가로서 평가를 받고있다. 웨슬리는 1739년봄 브리스톨에 협회(society)를 조직하고 그해 5월 12일 협회소유 예배당을 전립하였는데 이것이 감리교 최초의 예배당으로 보고있다. 또 웨슬리는 그해 가을 런던에도 협회소유 예배당을 건립하였는데 이곳은 1779년까지 감리교회 운동의 본산지로 활용하였다. 협회는 급속히 발전하여 1740년 7월 23일 감리교 연합회(Methodist United Society) 연합체를 만들게 되었다. 회원자격은 회원권을 발부해 3개월마다 갱신토록 했다. 1740년 말에 평신도 보조설교자를 임명하였으나, 이문제에 대해 찰스 웨슬리, 죠지 힛필드같은 지도자가 반대 하였으나 반대에도 불구하고 어머니 수잔나 웨슬리의 강력한 권고로 감리교 최초 평신도 설교자로 토마스 맥스필드가 하게 되었다.
1742년 2월 15일에는 회원 12명씩 나누어 속회를 조직하여 속회제도를 운영 하였는데 이 조직으로 평신도 지도자들의 역할이 크게 증대되었다. 1744년에는 설교자들의 제1차 연합대회를갖었고, 1746년에는 순회구역을 담당하는 보조자를 두었으나 후에 감리사라고 불리우게 되었다. 감리교회는 꾸준히 발전하여, 1770년에 영국에 50개의 순회구역이 생겼고, 회원수는 약29000명에 달했으며, 국교회 출신인 성직자만을 정식 목사로 인정하여 세례식,성찬식,등 성례를 집행하였고, 감리교 독자적인 선교사 파송을 시작 하였는데 1787년 미국선교사로 토마스코우크(Thomas Coke 1747-1814)가 최초로 파견 되었다.

 

8.웨슬리파 감리교회와 칼빈파 감리교회의 분리
웨슬리는 아르미니우스주의를 신봉 하였으며 칼빈의 예정론에 반대하여 만민구원설을 신봉하였다. 웨슬리가 칼빈의 예정론에 반대한 것은 칼빈의 예정론이 크리스챤으로 하여금 성화노력을 등한히 하게할 우려가 있다는데 있었다, 이에 비해 그의 동역자인 휫필드는 1739년 말부터 청교도 정신이 지배하는 미국 동북부지역에서 선교 사역을 하면서 칼빈주의 자가 되었다. 그리하여 휫필드는 1740년부터 웨슬리와 예정론에 관해 논쟁을 하게 되었고 1741년에는 두사람 사이는 결별을 고하게 되었다. 이때 휫필드를 대신하여 칼빈파 감리교회의 조직에 나선 사람이 헌팅던 백작부인 셀리나(1709-91)였다. 그녀는 감리교회의 전신이라고 할수있는 페터레인 협회에 초창기부터 참여 하였으나 웨슬리의 권위주의적 리더쉽을 싫어 했고 아르미니우스주의 보다는 칼빈주의를 더 옳게 생각했기 때문에 휫필드를 도와 칼빈파 감리교회를 조직하게 되었다. 헌팅던 백작부인이 조직한 칼빈파 감리교회는 처음에 "헌팅던부인문도"라 불리 웠으며 1761년 영국남해안의 항구도시 브라이튼에 최초의 독자적인 예배당을 건립 하였고 1779년 영국국교회로부터 정식으로 분리 독립하였다.

 

9.웨슬리의 부흥운동이 영국에 미친 영향
웨슬리의 부흥운동은  우선 영국 국교내에 "저교회파"혹은 "복음파"의 세력을 회복 시켜 주었다. "클래펌파"라 불리 우는 그룹이 형성 되었는데 이는 헨리벤(1725-97)과 그의 아들 존벤(1759-1813)이 1804년 설립된 대영성서공회는 클래펌파에 속한 사람들의 기부부금으로 설립된 것이다. 대영성공회가 성서를 영국뿐 아니라 셰계 각국반포 하였다. 웨슬리의 부흥운동은 영국사람들에게 기독교 교육에 대한 관심을 높여 주었다.

 

첫번째는 최초로 1739년에 휫필드가킹스우드탄광의 가난한 광부들 자녀를 위해 교육을 받을수 있도록 세웠으며, 교육의 목적은"하나님과 그의 보내신 바 예수그리스도를 알도록" 가르쳤고, 또 영국의 여러 곳에 어려운 환경의 청소년들을 위하여 주간 학교를 설립 하였다.


두번째로는 감리교 주일학교를 최초로 1739년 영국 동남부 하이워컴에 세웠다. 로버트 레익스(1736-1811)가 1780년 글로스터에 주일 학교를 세우고 , 1785년에는 런던에 주일학교협의회가 주일학교운동을 영국과 영국의 해외식민지 전체에 확산 시킬 목적으로 조직 되었다.


셋째로는, 웨슬리는 감리교 성직자들과 평신도들의 지적, 영적 수준의 향상을 위해 신앙서적과 교양서적의 보급을 장려하고 몸소 출판 사업에도 관여 하였다. 웨슬리 부흥운동은 서인도 제도에도 선교사역을 당당하였다. 1792년에는 침례교 목사월리암 케어리(1761-1834)에 의해 침례 선교회가 조직되고, 1795년에는 초교파적인 "런던선교회가 조직되고, 1795년에는 "스코틀란드선교회와 글래스고우 선교회, 1799년에는 영국지교회파 주도의 "국교회선교회"가 조직 되었다. 1866년에는 한국에도 런던교회소속 선교사로 로버트 저어멘 토마스(1840-1866)가 제네랄 셔만을 타고 한국에 왔으나 대동강변에서 참수당하였다. 또 웨슬리는 수많은 고아원, 병원, 모자원, 구빈원, 설립과 감옥개량사업도 추진 하였으며, 웨슬리는 노예제도 폐지주장으로 1807년에 노예무역이 금지되고 1808년 서아프리카의 시에라레오네가 해방된 노예를 위한 직할 식민지가 되기도 했다. 영국은 1833년에 노예제도가 완전히 폐지 되었으며, 미국보다 32년이나 빠르다. 이와 같이 웨슬리의 부흥운동은 영국에 해이해진 청교도 정신이 다시 소생되었으며, 감리교 운동은 산업혁명시대에 접어든 영국에 정신적 활력을 불어넣었다 

출처 : 은혜동산 JESUS - KOREA
글쓴이 : 죤.웨슬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