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종교개혁
I. 서 론
영국의 종교 개혁사는 영국 교회와 영국 국민이 점진적으로 개신교화하는 과정이었으며, 이 기간은 헨리 8세(Henry VIII, 1509-1547)와 그 계승자인 에드워드 6세(Edward VI, 1547-1553), 메리(Mary, 1553-1558), 엘리자벳 1세(Elizabeth I, 1558-1603)의 전 통치를 망라한다. 영국의 종교개혁은 대륙 내에서의 종교개혁처럼 몇 명의 주도적인 지도자들에 의해서가 아니라 여러 정치적 사건들에 연루된 국왕들의 처세에 의한 위로부터의 개혁이었다.1)
♦ 시대적 배경
16세기 초 스코틀랜드는 프랑스와 동맹관계에 있었으며, 잉글랜드는 스페인과 친선을 유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프랑스와 스페인과의 적의는 자연스레 브리튼에 있던 이 두 왕국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잉글랜드의 국왕 헨리 7세는 스페인과의 우호관계를 위해 자기의 태자인 아더(Arthur)를 스페인의 국왕 페르디난드(Ferdinand)왕의 딸인 캐더린(Catherine of Aragon)과 혼인시켰다. 그러나 아더(헨리의 형)는 결혼 4개월 만에 사망하였으며, 스페인은 왕위계승자가 된 헨리 8세와 형이 남긴 미망인 캐더린과 결혼시킬 것을 제안했다. 원래 교회법은 자기 형의 미망인과 결혼하는 것을 금하고 있었으나 결혼을 위해 쥴리우스 2세 교황이 특별한 윤허를 내렸고, 국왕은 그의 지참금과 스페인과의 우호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허락하였다.2) 결국 헨리 8세는 겨우 12살 때, 거의 7살 연상인 캐더린과 결혼하였다.
II. 본 론
♦ 헨리 8세(Henry VIII)에 의한 종교개혁
1509년 헨리 8세가 그의 부친 헨리 7세를 계승하여 왕위에 올랐을 때, 위클리프파의 신앙, 에라스무스(Erasmus)파의 철학과 반성직주의(反聖職主義)가 성행했다. 헨리 즉위 초기 몇 년 동안 위클리프주의(Lollardy)의 부흥이 있어서, 국내에 만연되어 있는 강력한 반성직주의 흐름을 예리하게 하고 초점을 제공했다. 이리하여 신 위클리프주의와 반성직주의는 개신교를 위한 도약대를 제공했다. 영국의 인문주의 또한 교회의 개혁에 대한 집요한 요구와 성경에 근거한 악폐의 비판으로써 그러한 역할을 담당하였다.3)
영국 종교개혁의 직접적인 원인은 헨리가 캐더린과 이혼하는 문제였다. 헨리 8세는 캐더린과 결혼하여 18년의 결혼생활에서 여섯 아이들을 낳았지만 모두 유아기 때 사망하고 유일한 생존자는 메리(Mary) 공주뿐이었다. 국가를 안정시켜서 국민의 지지를 받았던 튜터 왕조로서의 헨리 8세는 캐더린을 통하여 자신의 뒤를 이을 왕자를 얻는 것이 불가능해지자 질서 정연한 왕위 계승에 의해 보장되는 제국의 평화가 위험에 처하게 되었다고 생각했다.4) 그래서 왕위 계승 문제와 관련하여 아들을 낳을 욕심을 가지게 되었고, 마침 헨리 8세는 여왕의 시녀들 가운데 하나이던 앤 볼린(Ann Boleyn)과 사랑에 빠져 캐더린과 이혼하기를 원했다. 그러나 뜻대로 되어지지 않자 교회를 자신의 치하에 두고 수장이 되기 위해 개혁을 시도하게 된 것이다.
헨리 8세는 1534년 의회를 통해 여러 법령을 통과시켰는데, 교황청에 보내는 돈을 금지시키고 모두 주교들을 왕의 지명으로 임명하며, 교황에 대한 순종의 서약과 로마의 허락, 기타 다른 모든 교황의 권위를 부정하는 것들이었다.5) 그리고 결국 1534년 11월에 영국국교의 독립을 선언하는 수장령(Supreme Act, 국왕 폐하는 마땅히 앵글리칸 교회라 불리는 잉글랜드 국교회의 가장 높으시고 유일한 수장이시다)을 발표하였다. 또한 영국 내에서 자신의 수장령을 실현하기 위해 토마스 크랜머(Thomas Cranmer)를 캔터베리 대주교로 임명하였다. 크랜머 대주교는 헨리 8세와 캐더린의 이혼과 앤과의 결혼의 적법함을 공포하였다. 헨리 8세는 또한 성직자들이 로마에 항소할 권한을 금지시키는 권한(항소제한법)을 의회에 통과시켰다. 교황 클레멘트(Clement IV) 7세는 그를 인정해 주지 않고 파문하는 절차를 밟는다. 교황은 헨리 8세와 캐더린의 결혼이 적법이며, 앤과의 결혼은 불법이라고 선언하였다. 1534년 9월에 엘리자벳 공주가 태어나자 의회는 곧 왕위계승법(the Act of Succession)을 통과시켜 헨리와 앤 사이에 태어난 아이들을 적법한 왕위계승자들로 규정하였고 모든 국민들은 이 법안을 추종할 것을 선서해야 함을 의무화시켰다. 또한 다시 왕과 그의 가족들을 반대세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반역법(the Treasons Act)을 통과시킴으로써 튜더 왕조 하에 국교 성립을 체계화시키는 작업이 일단락되었고 영국은 독자적인 수장을 지니게 되었다.
헨리 8세의 재위 기간 중 교회생활에는 두 가지 변화가 있었다. 첫째, 종교적 동기 및 반 성직자적 정신에 경제적 필요성까지 복합되어 헨리 8세는 과거의 수도원을 하나도 남기지 않고 모두 압류하였다. 수도원 폐쇄의 외형적인 이유는 수도원의 타락이지만, 내적인 이유는 재정적 문제 때문이었다. 왕실은 수도원을 압류하여 상당한 재산을 취득하였고, 대부분 돈을 받고 개인들에게 판매하였다. 둘째, 교회에 일상생활의 통용어로 된 성경을 비치하는 문제였다. 크랜머는 영어 성경 출판을 지원하고 영어로 된 기도문을 작성하였다.
1539년 6월 의회를 통해 헨리 8세는 6개 신조(Six Articles Act)을 반포하였다. 화체설의 교리를 영국의 신조로 확정하여 이것을 부인하는 자는 화형에 처했다. 성직자의 결혼을 금지시켰고, 성만찬에서 빵과 포도주의 이종배수를 반대(빵만 분급)하였고, 순결 서약을 엄격히 지킬 것을 명했고, 개인 미사와 비밀 참회를 권장했다. “6개의 현을 가진 피의 채찍”으로 알려진 이 법령은 헨리가 죽을 때까지 계속 유효했다.6)
♦ 에드워드 6세(Edward VI)에 의한 종교개혁
헨리와 제인 세이머(Jane Seymeour) 사이에 태어난 아들로서 1547년 헨리 8세가 죽은 후 왕위에 올랐다. 에드워드 6세 치하의 종교개혁은 외교정책에 의해서보다는 사회적, 국내적 문제들에 의해 좌우되었다.7)
에드워드 6세의 통치기간 중, 의회는 헨리의 수정법안들을 삭제하고, 6개 신조법령을 철회하고, 성경의 출판·판매·주석에 대한 모든 제한을 해제하였다. 또한 새로운 연보법(chantries act)을 통과시켜 결과적으로 연옥 교리를 부정하던 프로테스탄트의 교리와 일치하게 되었다.8)
캔터베리 대주교인 크랜머는 「기도서」를 1549년, 1552년에 각각 출판하고, 42개조의 신학(루터적인 내용)을 선언하였다. 본격적인 신학을 형성하기 시작한 것이다. 영국 성공회는 신학적으로 루터의 신앙의인화를 받아들였으나 성직자의 결혼 및 성례전 등 의식에 있어서는 죽은 자를 위한 미사 등 가톨릭 의식을 받아들였다. 에드워드 즉위 첫해 7월 국회에서는 주교들에게 모든 성상을 파괴시킬 것을 지시하였고, 예배 시에 복음서와 사도서신을 영어로 낭독할 것을 지시하였다. 그리고 주교회의를 열어 이종성찬을 새로운 성찬예식으로 받아들였고, 성직자가 결혼할 수 있는 자유를 부여하였다.
♦ 메리(Mary, 헨리 8세와 캐더린 사이의 딸)여왕에 의한 가톨릭 전환
1553년 여왕으로 등극한 메리는 어머니의 한을 풀기 위해 가톨릭 신앙으로 돌아서게 되었다. 박탈당한 교회의 재산을 환원시키고 수도원들을 복귀시키고자 노력했으나, 그리 쉬운 일이 아니었다. 과거의 정권아래 투옥되었거나 망명했던 가톨릭 신자들을 다시 고위직으로 복직시켰고, 반대로 종교개혁을 지지했던 지도자들은 투옥되거나 망명을 갔다. 메리의 제2국회는 1529년 이후 교황의 권한을 축소하기위해 발표되었던 모든 법령들을 무효화시켰다.
당시 가톨릭 국가였던 스페인 국왕이었던 필립과 메리의 결혼은 모든 이들을 실망시킨 사건이었으며, 게다가 둘의 결혼 생활은 원만하지 못했고, 남편은 메리를 무시했다. 이런 상황에 실망한 메리는 프로테스탄트를 본격적으로 탄압하기 시작하였다.9)
1556년 프로테스탄트의 가장 중요한 지도자 캔터베리의 대주교 크랜머의 마지막 고백과 순교는 영국을 다시 프로테스탄트 국가로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
♦ 엘리자벳(Elizabeth, 헨리 8세와 앤 사이의 딸) 여왕에 의한 종교개혁
엘리자벳 여왕이 즉위하였을 때 로마교황이 엘리자벳의 양친의 결혼을 합법으로 승인할 희망은 없었으므로 엘리자벳은 프로테스탄트 입장에 설 수 밖에 없었다. 엘리자벳은 영국에 우선 무엇보다도 평화와 안정이 필요한 것을 깨닫고, 캔터베리 대주교로 메튜 파커(Matthew Parker)를 임명하고 교회와 왕국을 위해 '중도의 길(Via Media)'10)을 추구하는 온건한 종교정책을 추구하였으며, 따라서 가톨릭과 극단적 프로테스탄트 양쪽 모두를 억제시켰다.11) 엘리자벳은 가톨릭교도에겐 아주 불쾌하고, 전통적인 개신교도에 의해서 더 잘 받아들여지지도 않던 이전의 수장(Supreme Head)이란 말 대신에 영국 교회의 최고의 통치자(Supreme Governor)라고 불렀다. 실제로는 동일한 사실을 지칭하면서도 이것은 훨씬 더 반대를 받지 않는 표현이었다.12)
메리 아래서 주장되었던 모든 가톨릭 법안들은 취소되었으며, 통일법에 의해 헨리 8세의 종교적 위치가 다시 회복되었고, 1549년 판으로부터의 몇몇 조항들을 약간 완화시켜서 수정 보완함으로써 에드워드 6세의 「제2 기도서」를 다시 소개하였다.
신학은 칼빈주의의 신학을 받아들였으며, 에드워드 6세의 42개조를 약간 개정하여, 39개조를 만들었고, 이 39개조는 영국 성공회의 교리적 표준으로 인정되었다(1517년). 전에는 성찬시에 무릎을 꿇고 성찬을 받았으나, 루터적 신체적 임재설을 믿지 않고 칼빈적 영적 임재설을 믿었기 때문에 서서 성찬을 받았다. 의식과 제도는 로마 가톨릭적인 것을 받아들였다. 로마 가톨릭 교회의 화체설은 강하게 비판하면서도 미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성직자의 계급적 제도나 예복을 강조하였다. 엘리자벳은 종교와 신앙보다는 국가의 평화와 질서를 유지하는 데 관심이 있는 인물이었고, 포괄주의 정책을 가미한 프로테스탄트 노선을 택하였고, 정치적·사회적 종교개혁을 강요하였다. 종교적이기 보다는 정치적인 방법은 청교도들의 강한 도전을 받게 되었고 로마 가톨릭교회로부터도 도전을 받게 되었다.
III. 결 론
영국 종교개혁의 주목할 만한 특징은 어떤 탁월한 종교적 지도자들을 즉 루터, 츠빙글리, 칼빈, 녹스 같은 인물들을 배출시키지 않았다는 점이다. 또한 영국 종교개혁에서는 엘리자벳의 통치 이전에 모든 사회 계층의 사람들 사이에서 어떤 상당한 영적 각성도 나타나지 않았다. 즉, 종교적 성향이 비교적 강했던 대륙의 종교개혁과는 대조적으로 위클리프주의나 반성직주의와 같은 종교적 영향력과 인문주의의 영향 그리고 왕위 계승 문제 등의 정치적 영향력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산물이었다는 것이다. 또한 국가 정책적 목적과 필요성에 의해서 추진된 위로부터의 개혁이었으나 통치자의 입장에 따라 좌지우지되는 모습을 보이고, 로마교회의 지배권에 대한 정치적이며 국가적인 반대 운동의 형태를 보이기도 했다. 그 속에서 개신교의 싹이 움트기 시작했고, 핍박과 억압 속에서 신앙의 싹은 자라났다고 볼 수 있다. 에드워드 6세와 메리의 시기를 지나, 엘리자벳의 시대에 이르러 나타난 포괄주의 정책으로 인해 영국 성공회의 성격이 규정되어졌는데, 교회의식은 로마가톨릭식, 신학적 배경은 칼빈주의 등 대륙의 종교개혁 신학의 영향 아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영국의 종교개혁의 중도주의(Via Media)는 로마 가톨릭으로부터 개신교로 전환하는 동안 영국 교회사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으로써 존재했다.13) 이런 중도주의적 교리 형성은 청교도들에게 있어서 영국의 종교개혁을 충분치 않은 개혁으로 느끼게 했으며 이것이 청교도 혁명의 계기를 제공했다. 하지만 중도주의적 입장은 영국의 교회사를 통해 이어졌으며 그것은 18세기 웨슬리의 구원론 형성에까지 영향을 미쳤다.14)
참 고 문 헌
김홍기, 「종교개혁사」, 지와 사랑, 2004.
John Moorman 저, 김진만 역, 「잉글랜드 교회사 상」, 성공회대학교 신학연구소, 2003.
Justo L. Gonzalez 저, 서영일 역, 「종교개혁사」, 은성, 1987.
Justo L. Gonzalez, A History of Christian Thought, Nashville : Abingdon Press, 1986.
Lewis W. Spitz 저, 서영일 역, 「종교개혁사」, 기독교문서선교회, 1994.
Williston Walker 저, 송인설 역, 「기독교회사」,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7.
'교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사탄숭배 사상 (불가사의 세계) (0) | 2013.08.05 |
---|---|
[스크랩] 세계 교회사 (0) | 2013.08.05 |
[스크랩] 예장 통합측 신앙고백서 (0) | 2013.08.05 |
[스크랩] 신학생, 목사들이 최면술은 왜 배우는가 ! (0) | 2013.08.05 |
[스크랩] 영적 간음 (에스겔 8장) (0) | 2013.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