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에 방치된 개인정보
며칠 전 언론보도를 통해 중국의 게임 포털 사이트에 한국인의 주민등록 번호를 포함한 개인정보가 유출 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실상을 알아보기 위해 중국 검색사이트에서 관련 키워드로 검색결과 바로 주민등록번호가 게시된 사이트가 나왔다.
누구나 인터넷 검색을 통해서 주민등록번호를 쉽게 찾을 수 있다.
이는 해킹단체나 게이머들만의 정보가 아니라 일반적으로 공개 되어있고 많이 퍼져 있다는 것이다.
그중에는 단순한 주민등록번호 생성기가 있으며 실명을 포함한 경우 또는 카드 번호나 주소 핸드폰 번호 등이 같이 기재된 경우도 있다.
우측은 2월9일에 작성된 게시물.아직도 계속해서 주민등록번호가 유출되고 있다.
하지만 정작 중요한 것은 다른 곳에 있었다.
이 사이트에는 주민등록 번호가 아니라 이를 찾는 방법이 설명되어있다.
그 방법이란 한국 내 검색사이트를 통해 두 가지 키워드만 입력하는 것이다.
설명대로 구글 www.google.com 에서 임의의 번호로 검색해 보았다.
주민번호만 가렸을 뿐 신상정보가 그대로 나왔다.
대부분 주민등록번호 뒷자리를 가려서 앞서 설명처럼 주민등록 번호를 가져오기는 쉽지 않았다.
위 자료들은 특정사이트를 해킹하여 추출한 자료가 아닌 실제 인터넷상에 보여 지는 내용.
그중에는 카드업체에서 나왔을 법한 카드관련 정보가 기재된 파일도 있었고, 학생명부, 이력서 등 약 1시간 동안 단순 숫자조합으로만 찾아낸 정보는 상당한 양이었다.
개인의 주민등록 번호 주소 계좌 번호뿐만이 아니었다.
전문 기술이나 지식없이 검색사이트를 통해 수십 명의 정보를 해킹해낸 셈이다.
검색 사이트에 의한 개인정보 노출문제는 전부터 논쟁이 있었지만 검색업체만의 문제가 아니다. 개인 신상정보를 가진 업체에서 문서를 공개적으로 방치하여 외부 접근에 대해 제대로 관리 하지 못한 잘못이다.
많은 정보가 당사자의 의지에 상관없이 공개돼있기 때문에 개인의 주민등록번호가 중국 웹사이트에 배포되기까지에는 해커나 프로그램이 따로 필요하지 않았다.
가끔씩 유명 사이트에서 관리상의 허점으로 개인 신용정보가 유출되었다는 뉴스를 듣곤 한다. 하지만 우리가 모르는 사이 지금도 인터넷 여기저기에서 개인 신상정보가 유출되고 있다.
덧붙이는 글
|
'한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애완견 관리 잘못하면 내몸에 질병…예방접종하고 청결하게 관리해야 (0) | 2006.02.25 |
---|---|
[스크랩] "그래요, 저희 엄마는 치매 노인입니다" (0) | 2006.02.25 |
[스크랩] <사람들> "입양 받아줄 사람 찾습니다" (0) | 2006.02.23 |
[스크랩] <8년 식물인간 아내 살린 中조선족 남편의 `순애보'> (0) | 2006.02.23 |
[스크랩] [사형수 63인 리포트] (5) 죽음을 넘어…죽음의 공포 오직 신앙으로 이깁니다 (0) | 2006.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