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

[스크랩] 케이크의 유래(알고 먹자 케이크!)

참빛7 2006. 1. 3. 23:27

 

 

 

Cake이란 단어는 언제부터 사용되었을까?

음식 역사학자들에 의하면 고대이집트인들에게서 최초로 빵 굽는 기술의 증거를 찾았으며

'Cake'이란 단어는 옥스퍼드영어 사전에서 13세기 이전부터 사용되었고, 고대 노르웨이 단어인 'Kaka'에서 유래한다고 한다.


고대의 케이크는 현재 우리가 먹고 있는 것과는 달리 빵에 더욱 비슷했으며 꿀로 달콤한 맛을 냈으며 견과류와 말린 과일을 첨가하기도 했다. 또한 유럽의 베이커들은 종종 과일 케이크와 생강 빵을 만들었는데, 이러한 것들은 여러 달 보존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지금과 같은 케이크는 언제부터??


음식 역사학자들에 의하면 현재 우리가 먹고 있는 케이크 즉, 아이싱과 함께 둥근 모양의 것은 17세기 중반 유럽에서 처음 만들었다고 한다.


17세기 중반의 유럽에서는 더욱 오븐다운 오븐이 생산되었고 오븐음식 틀이 제품화되어 이용되었다. 그 시대에 케이크 틀은 케이크 모양을 만들기 위해 평평한 쟁반위에 놓을 수 있는 둥근 모양의 것이 널리 보급되어 졌는데 보통 금속, 나무 또는 종이로 만들어 케이크 팬으로 종종 이용되었다. 


케이크를 만드는 기술 또한 그 당시 많은 발전이 있었으며 그 중 한개는 케이크의 중요한 재료중의 하나인 정제된 설탕 또한 이 당시 이용이 가능했다는 것이다. 특히, 처음으로 만들어 졌던 아이싱은 정제된 설탕, 달걀흰자, 그리고 가끔 향신료 등을 끓여서 이용했는데 이렇게 만든 아이싱을 케이크 위에 부은 후 다시 한번 케이크를 오븐에 구워냈는데 케이크를 오븐에서 꺼낸 후엔 모양과 광택을 위해 재빨리 식혀줬으며 이 당시의 대부분의 케이크 들은 여전히 말린 과일(말린 포도나 말린 레몬)등을 첨가했다.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케이크 즉, 현재 사용되고 있는 흰 설탕이나 이스트 대신 베이킹파우더를 사용하는 것은 19세기 중반까지도 찾아 볼 수 없었다.

-간단히 베이킹파우더의 역사를 보면, The Cassell's New Universal Cookery Book 에서 레이어 케이크의 레서피에 포함 되어있다(American p.1031).

-버터크림(버터, 크림, 파우더 설탕을 이용한)은 20세기에서 초, 끓여서 아이싱을 사용했던 전통적인 방법을 다시 이용하기 시작했다.

-프랑스에서 Antonin Careme(1784-1833)은 현대 pastry와cake세계의 역사상 처음 chef이였는데, 여러분들은 프랑스 culinary 역사책에서 그의 이력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왜 케이크의 모양은 둥글까?

당연하지만 훌륭한 질문이다.


음식 연구가들은 각각의 시대, 문화 그리고 요리법에 따라 많은 이론을 제시하였다. 오늘날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둥근 모양의 케이크는 고대 빵으로부터 유래되는데 고대 빵들과 케이크는 손으로 만들었고 보통 둥근 공 모양으로 만들어 돌이나 낮고 얇은 팬 위에서 구워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베이킹 팬들은 쉽게 널리 이용되어 사용되게 되면서 케이크 틀을 이용한 케이크들(과 다양한 장식)이 절정에 이르게 되었다.


17세기 케이크를 위한 보다 발전된 주석이나 철로 된 틀(hoop)들은 점차 증가되면서 이용되었고 요리책에서도 자주 찾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틀들은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flan ring들과 비슷했지만 더욱 깊었다. Hoop은 철이나 수석 판에 올려놓고 그 위에 종이 2장 그리고 밀가루를 바닥에 뿌리고 Hoop옆에는 버터를 발라주웠다.


둥근 케이크의 상징

고대 빵과 케이크는 보통 종교의식에서 이용되어 졌으며 의식에 따라 일부러 특별한 모양을 만들었다. 둥근 모양은 보통 우리의 삶에서 자연의 주기 즉, 태양과 달을 상징한다.


사람들은 모든 종류의 역사를 통해서 그리고 모든 의식의 양식에서 케이크를 이용했다. 오늘날, 사람들은 전통적으로 우리 삶서 휴일, 생일, 결혼일, 장례식 그리고 세례일등의 중요한 날에 케이크를 이용한다. 이처럼 전통적으로 의례적으로 특별한 날에 케이크를 먹는 것은 고대의 관습에 기본을 두고 있다.


 

세계 속에서 본 케이크의 상징

고대 세계에서 케이크는 매 해의 주기를 연결하고 사람들은 그들의 신에게 그것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용했다. 중국인들은 케이크를 추수기에 그들의 달 신(Heng O)을 위한 의식으로 만들었다. 달이 계절의 주기에서 중대한 역할을 행하기 때문에 달 신에게 보답하기 위해 달 모양의 케이크를 만들고 케이크 위에는 Heng O 형상을 찍었다고 한다. 러시안들 은 전통적으로 봄에 Maslenitsa라는 신을 위해 얇은 팬케이크처럼 생긴 blini를 만들어 행사를 치렀다. 그들은 태양의 케이크(sun cakes)이라고 불렀다. 이교도 슬라브 인들은 단지 사람들이 봄 신을 찬양하기 위해 둥근 케이크를 만든 것은 아니었다. 봄의 첫 번째 날에 유명한 벨트인 축제를 했던 고대 켈트인들은 그들 의식의 중요한 부분처럼 벨트인 케이크를 굽고 먹었으며 벨트인 축제에서 고대 켈트인들은 또한 태양의 움직임을 모방해 언덕위에서 케이크를 굴렸다. 케이크를 굴리는 것은 그들의 태양의 운행이 계속되기를 바라는 그들의 바램이었다. 이러한 의식은 또한 예측의 형태로 다뤄졌는데 만일, 케이크가 언덕 아래에 닿았을 때 깨졌다면, 켈트인들은 누구든 케이크를 굴렸던 사람이 그 해안에 죽을 것이라고 믿었다. 그러나 만일 케이크가 원래의 모습 그대로라면 한 해의 좋았던 행운이 그 해에도 반복 될 것이라고 믿었다.

  

이처럼 세계 이곳저곳의 농부들은 곡물과 토양으로부터 기른 과일로 케이크를 만들었다. 이러한 재료로 만들 케이크들은 그들을 나타내기 위해 계속해서 이러한 케이크를 만들었고 그 케이크의 크기와 모양은 그것의 의식 목적에 따라 같게 상징적으로 만들어 졌다. 둥근 모양의 케이크는 역시 태양과 달을 상징했으며 이러한 모든 케이크들은 사람들과 신과 관련되어서 나타났다.



Nectar and Ambrosia" An Encyclopedia of Food in World Mythology, Tamra Andrews 2000 (P. 52-54)

Encyclopedia of Food and Culture, Solomon H. Katz editor, William Woys Weaver, associate editor

"Cake and pancakes," (p. 288+) English Bread and Yeast Cookery, Elizabeth David

"Regional and Festival Yeast Cakes and Fruit bread," (p. 424-472) The History of Food, Maguelonne Toussaint-Samat (p. 223-246)

"History of bread and cakes," includes baking methods, symbolism, and special cakes (holidays/religion/ethnic cuisine). Nectar and Ambrosia: An Encyclopedia of Food in World Mythology, Tamra Andrews (p.52-54)

The history of cake as religious offering The Oxford Companion to Food, Alan Davidson (p. 122-124)

Short history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Separate entries for specific kinds of cakes (chiffon, devil's food, fruitcake, gingerbread etc.) are most helpful.


출처 : 취미/생활
글쓴이 : 오두막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