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스크랩] 주먹 야사(野史)

참빛7 2013. 7. 12. 23:58

슈퍼맨주먹 야사(野史)

일제 식민지 설움에서 두 주먹을 밑천으로 민족긍지 를 잃지 않고

살아온 사나이 들이 해방 전후 6.25전쟁 소용돌이 속에

나라의 기강이 제대로 서지 않은 초기 무정부 상태 하에서는

법 보다는 주먹이 먼저 이었다.

그래서인지 그때 그 시절 오직 주먹하나로

세상을 주름잡았든 시절이 있었다.

이름하여 무수한 인물이 떴다 사라져 갔지만

그중 전설의 싸움꾼 스라소니(이 성순)는

조직도 없이 홀 홀 단신이면서도

당시 주먹계의 보스인 김두한,

명동 보스인 이 화룡, 동대문 황제 이 정재 등의

대단한 조직체를 갖춘 보스들로부터 한결같이

형님 소리를 듣는 사람이었다.

그의 싸움기술과 생시의 일화(逸話)들은 소개할

기회가 있으면 따로이 쓰기로 하겠지만,

그가 17세 소싯적 그의 고향 신의주에서 중국 봉천을 넘나들며

일제하의 삼엄한 경계 속에서도 기차로 밀무역을 할 때,

약간 언덕바지의 기찻길 옆에 서 있다가 기차가 지나가면서

속력이 좀 늦추어진 틈을 이용,

일본말로 “도비노리”로 기차에 올라타는

좀 위험은 하지만 밀수꾼들이 세관의 눈을 피하고,

무임승차를 할 수 있어 하는 것이지만,

이 “도비노리”는 여간 몸이 재바르지 않으면 앗차! 잘못하여

달리는 기차속력에 빨려 들어가 즉사 할 수도 있는

목숨을 담보로 하는 아주 위험한 것이다.

달리는 기차 속도에 맞추어 달려 가다가 어느 순간에 난간을 잡고

속도를 이용 몸을 박차 튕겨 재바르게 몸을 날려 귀신처럼

기차에 올라타는 기술? 과,

무임승차 하였으니 역에서 내릴 수 없어 역 가까운 어느 적당한

지점에서 달리는 기차에서 뛰어 내리는 기술이나,

기차 안에서 경찰의 검표가 있을 때는

뒤로 몰리다 마지막에 할 수 없이 기차 안에서

밖으로 뛰어 내리는 기술은 한층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다.

일본 경찰이 ?아가 빠르게 달리는 밖을 내다보면

그가 아무렇지도 않게 저만치 우뚝 서 있는 것을 보고 놀랐다고 한다.

시라소니가 여기에서 터득한 싸움 기술중 하나는 싸움도중 갑자기

등을 돌려 벽 쪽을 향해 총알같이 달려가 한두 발 벽을 타다,

반사적으로 벽을 튕기며 공중걸이로 몸을 한 바퀴 돌며

발치기와 박치기로 순식간에

상대를 제압하는 기술은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한 마리의 벌이

번개와 같이 침을 꽂고 날아가는 모습과 같다고 한다.

여기서 그의 싸움기술을 미사여구로 칭찬 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시대가 영웅을 만들어 내 듯이,

사람은 누구나 그 시대에 걸맞게 살아가는 자를

영웅으로 부르는가? 봅니다.

1914년 신의주에서 출생한 시라소니는

위로 두형이 있었는데 일본 와세다 대학을 나온 엘리트였고,

전 일본 빙상대회에서 1등을 한 형들은

부모와 이웃들의 촉망을 받았으나,

후세 사람들은 정작 싸움꾼인 시라소니는 모두들 익히 알고 있지만,

그의 형들을 아는 사람이 없다는 것을 보면 더욱 그러하다.

풍운아 김 두 한

김두한 장가 가든날

김두한의 첫사랑 박인애

력 도 산 ,김 일

법정에선 이정재

사형직전의 이정재

시라소니 이성순

우미관의 식구들

사형 직전의 임화수

풍운아 김두한

황소를 때려 잡는 최배달



그때 그 시절 (1900년대 흑백 사진들) |------ 추억ノ그 시절


1920년대 남대문통의 모습.

1935년 청량리역 앞의 모습.

1910년 용산역의 모습.

덕수궁 안에서 바라본 경성(현 서울)
그래도 제법 높은 건물이 많이 보인다.

남대문로와 종로가 만나는 1905년 무렵의 보신각 주변.
전차가 지나가고 있다.

현재의 을지로 입구에서 광교 쪽을 조망한 경관.
콜로니엄 양식의 건물들이 제법 고색창연하다.
길 오른쪽 붉은색 벽돌 건물은 지금의 우리은행이다.

[THE QUEEN OF KOREA]
1894. 11. Frank G. Carpenter에
‘서울의 중심가’라는 제목으로 실린 남대문로의 모습.
거리 양쪽에 한옥 상가 앞쪽으로 초가로 조성된
가가(假家)가 늘어서 있어 상거래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1907년 3월에 찍은 광화문 거리.

헤르만 잔더가 1907년 9월 무악재를 넘다가 찍은 사진.
저 멀리 보이는 산이 북한산이다.

경성부청(지금의 서울시청) 건물.

1925년의 서울역.

일제강점기 사진엽서의 하나.
당시 경성과 부산을 오가던 특급
[아카즈키(あかづき=붉은 달)] 일등전망차의
호화스러운 모습으로 일본 고관 및 친일 상류인사들이
주로 이용했다.

일제강점기 부산역사.

부산 세관의 모습.

1930년대 부산 초량 입구.

1930년대 부산 청사의 모습.

1930년대 부산 연락선 출항 모습.

1940년 부산 대청동.

일제강점기 대구역 앞 광장.

일제강점기 대구 서문시장.

일제강점기 대구시청의 모습.

일제강점기 대구 본정통의 모습.

일제강점기 대구 서문시장의 모습.

1940년대 대구역에서 바라본 중앙통의 모습.

일제강점기 대구 원대통 거리.

인천의 일본인 거리 모습.

일제강점기 대전역의 모습.

일제강점기 대전역 주변의 모습.

1936년 9월 충청남도 대전군 회덕면 송촌리 쌍정당의 모습.

일제강점기 수원역 모습.

수원 화성의 남문인 팔달문.

웃음은 행복의 명약~

웃음은 행복의 명약~

* 두부장수는 누구를 위하여 종을 울리나 ?
처와 자식

* 개똥도 약에 쓰려면 ?
보건 사회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 운전사가 가장 싫어하는 춤은 ?
우선 멈춤

* 사람에게 배꼽이 있는 이유는 ?
앞뒤를 구별하기 위해서

* 제비족들이 싫어하는 옛날 사람은 ?
놀부(다리를 부러트렸으니까)

* 신경통 환자가 싫어하는 악기는 ?
비올라

* 돼지띠 동갑나기 부부의 침실을 네글자로 한다면 ?
돼지우리

* 가위로 3대째 내려오는 가문의 내력은 ?
할아버지=엿장수, , 아버지=이발사, , 아들=재단사, ,

* 이혼의 근본적인 원인는 ?
결혼

* 사람이 늘 가지고 다니는 흉기는 ?
머리칼

* 신혼부부가 가장 좋아하는 곤충은 ?
잠자리

* 사람몸에 붙어있는 곤충은 ?
사마귀

* 옷을 가장 많이 해 입는 나라는 ?
가봉

* 못생긴 여자만 좋아하는 사람은 ?
성형외과 의사

출처 : 대한민국 중소기업 유통인 총 연합회
글쓴이 : 씨이오 박사 원글보기
메모 :